2010.08.27 21:59

대지미술(Land Art)

조회 수 8834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대지미술(Land Art) 은 상업주의적 화랑이나 미술관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한 채 영구불변의 아름다움을 목표로 삼는 종래의 미술 개념에 대한 반발로 일어난 미술로 흙, 바다, 산, 돌 등 대지 자체를 소재로 한다.  예를 들면 사막, 산, 해변, 설원 등의 넓은 땅을 파헤치거나  선을 새기기도 하고, 넓은 대지 위에 천이나 철등의 구조물을 설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이 거대한 대지를 바탕 삼아 펼쳐지는 대지 미술은 미술의 개념을 광활한 공간으로 확장시켰다.

  자연 가운데서 자연과 같이 변화하는 인공적인 작품들을 바라보는 과정에서 무심코 스쳐지나갔던 자연의 아름다움을 재인식하게 되고 그것을 통해 자연과 예술에 커다란 의미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자연을 소재로 하는 작품들은  대부분 반영구적이고 대규모적이며 자연소멸되는 경우가 많아 전시 기간이 정해져 있지 않다. 작품에 따라서는 전시기간이 정해져 있고, 환경 문제 때문에 철거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달리는 울타리(길이39.4km 천,강철 등,부분) 크리스토 야바체프(1935~ ) 1972-76년 

 

 

나선형의 방파제  (현무암,석회암,흙,길이:460 m) 1970년작, 스미스슨/1938~1973/미국

 

 

 

바람(나무에 비닐 끈 설치 50x40cm 부분) 1974년 작, 이승택(1932~ 한국)

 

 

 

 

 

Facebook 댓글 

  • ?
    디디컴 2010.08.27 23:42

    사진을 찍어 결과물을 남기위한 예술인것 같네요.....

  • ?
    다다이스트 2010.08.28 00:17

    자연소멸되거나 철거해야 하는 이유로 작품이 보전되기가 어렵습니다.

    사진으로 작품이 남아있다고 해야되겠네요.. 

     

    작품 구상을 위한 드로잉들을 남기기도 합니다.

    드로잉들은 따로 전시가 되기도 하지요....


작가의 프랙탈 이야기들

작가와 함께한 프랙탈 이야기들을 모았습니다.

  1. 프랙탈 이야기 1

    Views20778
    Read More
  2. 프랙탈 이야기 2

    Views21124
    Read More
  3. 프랙탈 이야기 3

    Views19730
    Read More
  4. No Image

    프랙탈 이야기 4

    Views19034
    Read More
  5. No Image

    HSC의 Kai 인터뷰 ucc

    Views12183
    Read More
  6. 디지털은 예술의 미래인가

    Views8899
    Read More
  7. 2008년 상암DMC 프랙탈아트...

    Views11692
    Read More
  8. 우연#1- <프랙탈 별>

    Views15955
    Read More
  9. 修身齊家治國平天下(수신제...

    Views11837
    Read More
  10. 코리아디지털디자인국제공...

    Views13286
    Read More
  11. 창의성의 구성요소

    Views5573
    Read More
  12. 애플의 프랙탈 현상을 보면서

    Views10359
    Read More
  13. 제5회 경향 미술대전 특선

    Views13014
    Read More
  14. PARIS ART COLLECTION 금상...

    Views9430
    Read More
  15. 사이버 스페이스 속의 미술...

    Views9747
    Read More
  16. 최초의 반예술-다다이즘

    Views8568
    Read More
  17. 태초에 혼돈이 있었다.

    Views9950
    Read More
  18. 혼돈과 질서 - 최무영 교수...

    Views8679
    Read More
  19. 2010년 4월호 수학동아 프...

    Views11138
    Read More
  20. No Image

    예술의 죽음에 대한 소고

    Views8033
    Read More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 9 Next
/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