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첨부

모든 지식은 관찰에서부터 시작된다. 우리는 세계를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행동의 패턴들은 구분해내고, 패턴들로부터 원리들을 추출해내고, 사물들이 가진 특징에서 유사성을 이끌어내고, 행위모형을 창출해낼 수 있으며, 효과적으로 혁신할 수 있다.

 

현대 화가들의 놀라운 작품들은 수동적인 보기가 아닌 적극적인 관찰의 산물이다. 재스퍼 존스가 그린 미국국기 같은 것들은 ‘보기가 어렵기 때문에’ 소재로 선택된 것들이다. 존스는 이렇게 말한다. “어느 순간 내가 주변에 있는 것들을 잘 보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난 그것을 인식한다. 보지 않아도 인식은 하는 것이다. 우리는 국기를 국기로 인식한다. 하지만 어떤 사물을 인식하기 위해 그 표면을 보는 경우는 드물다. 나는 이런 점에 흥미를 느꼈다. 나의 그림 작업은 내가 익숙한 것을 어떻게 보는지를 ‘보는’ 지점에서 시작된다. 그것은 단순히 사물을 바라보는 지점이 아니다.”

존스의 미국국기 연작물은 우리가 잘 알고 있다고 생각하는 대상을 반복적으로 제시하고 변형시킴으로써 그는 우리가 그동안 보아온 것에 대해 다시 생각하고 다시 보도록 만든다.

 

재스퍼존의 국기.jpg

 재스퍼 존스의 미국국기 연작들. 왼쪽:<국기>,1954-55,  오른쪽:<세 개의 국기> 1958 

 

작금의 화가들은 그림을 그리는 재능과 관찰력이 불가분의 관계가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실제로 많은 화가들은 “손이 그릴 수 없는 것은 눈으로 볼 수 없는 것이다”라는 말을 믿고 있다. 앙리 마티스는 친구와 함께 파리의 거리에서 지나가는 사람들의 실루엣을 몇 초 안에 그리는 연습을 하고 했는데, 그러기 위해서는 행인들의 몸짓과 자세에 나타나는 특징을 순간적으로 파악해야만 했다. 관찰력은 마티스의 스승인 외젠 들라크루아도 중시한 능력이었다. 빈센트 반 고흐의 목표는 뭔가를 써내려가듯 쉽게 뭔가를 그리는 것이었고 자신이 본 것을 나중에 마음대로 표현할 수 있도록 잘 보는 능력을 갖는 것이었다. 고작 하루, 그것도 오후 나절 본 것만 가지고 완성한 고흐의 몇몇 명작을 보면 그가 원하던 능력을 성공적으로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글쓰기에도 예리한 관찰의 기술이 요구된다. 시인 에드워드 E. 커밍스는 자신을 태양 아래 있는 모든 것을 관찰하는 사람으로 규정한 바 있다. 작가 존 도tm 파소스의 기억에 따르면 두 사람이 같이 산책을 할 때마다 커밍스가 종잇조각에 뭔가를 적고 스케치를 하곤 했다고 한다. 소설가 서머싯 몸은 “사람을 끊임없이 탐구하는 것은 작가의 필수적인 자세다”라고 했는데 그 말은 사람의 외관뿐만 아니라 대화, 행동까지 관찰해야 한다는 뜻이었다. 그는 “간접적으로 전해지는 얘기라도 몇 시간 동안 들어줄 수 있어야 무심결에 새어나오는 중요한 단서를 포착해낼 수 있다”라고 말하고 있다.

작가들에게 관찰력이 얼마나 중요한가는 새삼스럽게 말할 필요도 없다. ‘진짜처럼 보이는’플롯의 전개를 위해서는 사람들이 다른 사람의 말과 몸짓과 행동에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를 알아야만 한다. 독자들의 감각에 자극을 주기 위해서는 감각 자체를 알아야 한다. 작가는 경험을 향유할 뿐만 아니라 그것을 관찰하고 분석한다.

 

발췌: 생각의 탄생/로버트 루트번스타인, 미셀 루트번스타인/박종성옮김/에코의서재

Facebook 댓글